산조는 민속음악에 속하는 기악 독주곡으로 19세기 말에 만들어졌다. 당시 판소리가 성행하고 있었고 무(巫)의식의 반주음악인 시나위와 판소리에서 영향을 받아 산조가 만들어졌다. 산조의 발생은 뛰어난 기량을 가진 연주가가 탄생하였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독창적인 산조 가락의 창조도 그렇거니와 특유의 농현과 시김새 등은 보통의 기량으로는 표현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이렇듯 산조는 민속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탄생에서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며 사랑받고 있다.
오늘의 무대는 아쟁산조의 생성 궤적을 따라 음악으로 그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보는 것이다.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박대성류 아쟁산조에서 시작하여, 그 산조의 모태가 된 한일섭의 아쟁산조, 또 산조 바로 이전의 형태라고 하는 봉장취를 거쳐, 산조와 민속음악의 뿌리인 굿음악에 이르기까지 아쟁산조의 궤적 연주를 통해 공감하는 시간을 가져보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