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진 아쟁독주회 ′궤적(軌跡)′ 97960


진민진 아쟁독주회 ′궤적(軌跡)′

날짜 : 20141106 ~ 20141106

장소 : 국립부산국악원

부산 국악

상세내용

산조는 민속음악에 속하는 기악 독주곡으로 19세기 말에 만들어졌다. 당시 판소리가 성행하고 있었고 무(巫)의식의 반주음악인 시나위와 판소리에서 영향을 받아 산조가 만들어졌다. 산조의 발생은 뛰어난 기량을 가진 연주가가 탄생하였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독창적인 산조 가락의 창조도 그렇거니와 특유의 농현과 시김새 등은 보통의 기량으로는 표현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이렇듯 산조는 민속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탄생에서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며 사랑받고 있다.

오늘의 무대는 아쟁산조의 생성 궤적을 따라 음악으로 그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보는 것이다.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박대성류 아쟁산조에서 시작하여, 그 산조의 모태가 된 한일섭의 아쟁산조, 또 산조 바로 이전의 형태라고 하는 봉장취를 거쳐, 산조와 민속음악의 뿌리인 굿음악에 이르기까지 아쟁산조의 궤적 연주를 통해 공감하는 시간을 가져보려 한다.

프로그램

1.박대성류 아쟁산조

-산조의 생명력을 여실히 보여주는 우리시대의 증언
(아쟁 진민진 거문고 박은하 장구 이진희)

2. 한일섭 아쟁산조

- 아쟁산조, 그 고귀한 이름의 탄생
(아쟁 진민진 장구 이진희)

3. 봉장취

- 점점 모습을 갖추어가는, 태어나기 직전의 산조
(아쟁 진민진 대금 오교선 장구 박환영)

4. 씻김

- 채 다듬어지지 않았던 우리의 처음. 그 시작.
(아쟁 진민진 구음,장구 박환영 거문고 박은하 대금 오교선)

연주자 프로필

진민진

現 국립부산국악원 연주단원
부산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부산예술고등학교 출강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이수자
부산광역시지정 무형문화재 제16호 박대성류 아쟁산조 전수장학생

반주자 프로필

구음,장구 박환영
-부산대학교 예술대학 한국음악학과 교수
-중요무형문화재 제72호 진도씻김굿 이수자

해설 조태원
-국립부산국악원 학예연구사

장구 이진희
-국립부산국악원 연주단 부수석

거문고 박은하
-국립부산국악원 연주단 단원

대금 오교선
-국립부산국악원 연주단 단원


*본 공연은 2014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부산광역시, 부산문화재단의 사업비 지원을 받았습니다.

문의 : 010-2559-0428

관람 URL 바로가기

지도로 위치 확인

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국악로 2 국립부산국악원